먼저 reset에는 soft, mixed, hard라는 옵션이 있다.
hard - 다 삭제(로컬과 저장소 다 삭제)
mixed - 로컬은 삭제안됨
soft - 로컬은 삭제안되고, 커밋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감
자세한 내용은 오픈튜토리얼스의 강의를 보면된다.
https://opentutorials.org/module/4032/24533
git reset --hard vs --mixed vs --soft - GIT4 - Reset & Revert
수업소개 reset은 head가 가르키는 branch가 가르키는 커밋을 변경하는 작업입니다. 이때 옵션을 --hard, --mixed, --soft 중 무엇으로 주느냐에 따라서 stage, working directory의 상태가 달라집니다. 여기서는
opentutorials.org
여기서는 hard를 해본다.
먼저 3개를 커밋해본다.
여기서 첫번째 커밋으로 reset(hard)해보자.
main를 이 커밋으로 초기화를 누른다
Hard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.
첫번째 커밋으로 돌아온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주의해야할 점은 두번째 커밋과 세번째 커밋이 사라진다.
로컬에 작업한 내용도 사라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.(하지만 reflog를 통해 다시 복구할 수 있다)
로컬의 내용을 리셋하지 않을려면 soft나 mixed를 사용하면된다.
'프로그래밍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스트리를 이용하여 revert 해보기 (0) | 2021.07.06 |
---|---|
소스트리를 이용하여 과거 커밋에 브랜치 생성하여 되돌리기 (0) | 2021.07.04 |
소스트리를 이용하여 병합 충돌 해결하기 (0) | 2021.07.02 |
소스트리를 이용하여 병합하기 (0) | 2021.07.01 |
소스트리를 이용하여 브랜치 만들기 (0) | 2021.06.30 |